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요양원, 요양병원 차이점과 장기요양등급 판정 방법

건강 정보

by 오푸닝 2022. 4. 8. 21:56

본문

썸네일

요양원과 요양병원의 차이점과 장기요양등급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부모님의 나이가 많아지면서 '요양'이라는 말에 관심이 가기 시작합니다. 주변에 요양원, 요양병원이 참 많다는 것도 새삼 느껴지고요. 그런데 요양원과 요양병원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길래 이번에 알아봤어요. 그 내용 공유해볼께요.

 

요양원, 요양병원 차이점

요양원과 요양병원을 구분짓는 가장 큰 차이는 입소 목적인 것 같아요. 

요양원

요양원은 어르신들의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간병과 돌봄서비스 제공이 주요 목적입니다. 특별히 아픈 곳이 있어서 치료를 하기위해 입소하기보다는 일상생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라고 볼 수 있어요. 혼자 거동이 어려우나 돌봐줄 사람이 없는 경우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다라 정부의 지원이 적용되고, 요양보호사가 케어를 해줍니다. 

요양병원

요양병원은 '병원'이라는 말에 주목하면 됩니다. 즉 아픈 곳을 치료할 목적으로 입원을 해서 생활하는 곳이라고 보면됩니다. 치료 또는 재활 등의 목적이 더 큰 곳이라고 보면될 것 같아요. 아무래도 치료를 목적으로 하다보니 의사가 상주하고 있다고해요.  요양병원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아닌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차이가 있습니다.

 

입소자격

요양원과 요양병원의 입소자격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요양원

요양원은 65세 이상이어야하고, 장기요양보험을 통해서 노인장기요양 등급을 받아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1~2등급의 장기요양등급이 인정되면 입소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노인장기요양 등급이 없더라도 65세 이상이면 입소는 가능한데요. 단 등급이 없으면 개인부담비용이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65세 이상이 아니라도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다른 사유로 인해 가정에서 돌봄이 어려우면 입소가능하다고해요. 재산이나 주거형태 등과는 상관없이 어르신 본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장기요양등급이 판정된다고 합니다. 등급판정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쪽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요양병원

요양병원은 입원자격에 제한이 없습니다. 나이제한도 없고, 누구나, 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후 추가적인 입원이나 치료, 재활이 필요할 때 입원할 수 있습니다. 

 

요양원, 요양병원 비용 얼마나 나올까?

사실 좋은 요양원으로 모시면 크게 나쁠 것도 없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문제는 비용입니다. 요새는 자녀가 적기때문에 부모를 부양하는 것이 꽤나 어려운 일이 되고 있어요.

 

다행인 것은 요양원, 요양병원 둘 다 정부지원을 80% 받을 수 있다고합니다. 나머지 20%는 본인부담인데요. 간병비부분이 차이가 납니다.

 

요양원은 간병비를 100% 지원받을 수 있지만, 요양병원은 100% 개인부담입니다. 따라서 치료 목적이 아닌 경우에는 요양원으로 옮긴다고하네요. 아무래도 요양병원이 비용이 더 많이 나옵니다. 

 

간병비는 간병인이 몇 명의 환자를 간병하는지에 따라서  비용이 달라집니다. 그리고 식비는 요양원은 100% 정부지원이고, 요양병원은 50%만 지원되므로 나머지 50%는 개인 부담합니다.

 

대충 비교를 해보면 요양원이 한달에 70만원정도 나온다면 요양병원은 식비, 간병비, 기저귀 값 등이 추가되기때문에 150-180만원 정도 나온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양원은 노인 장기요양보험, 식재료, 간식비 등 장기요양등급에 따라 입소비용 혜택이 달라진다고도 하니 이부분도 잘 체크하고 비교해봐야합니다. 요양원에 들어가고싶어도 장기요양등급을 판정받아야 입소가 가능하다는 점이 중요한 것 같아요.

 

장기요양등급 판정 받는 방법

장기요양보험을 이용하려면 등급판정이 필요합니다. 장기요양등급은 1등급에서 5등급까지 인데요. 이 등급에 따라 지원되는 내용이 다릅니다.

 

장기요양인정점수로 등급을 나누며, 일상생활에 도움이 어느정도 필요한지가 기준이 됩니다. 65개 항목조사와 25개 욕구조사를 통해 평가해서 점수를 매기고 총 6가지 등급으로 판정한다고해요. 인정신청을 하면 방문을 통해서 조사를 하고 판정이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장기요양등급 6등급

장기요양등급 심신 기능상태
1등급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95점 이상인 사람
2등급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75점 이상 95점 미만인 사람
3등급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60점 이상 75점 미만인 사람
4등급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51점 이상 60점 미만인 사람
5등급 치매환자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45점 이상 51점 미만인 사람
인지지원등급 치매환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45점 미만인 사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