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통신사에서 핸드폰을 사용하면서 중도 해지시 위약금이 얼마나 나오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작성해봅니다. 새 핸드폰을 개통할 때 보통 24개월 약정 계약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지원금을 받던지 월 통신요금에서 일부를 할인받는 혜택을 받게 되죠. 24개월을 사용한다는 약정을 조건으로 주는 혜택이기때문에 24개월이 지나기 전에 중도해약을 하면 그에 상응하는 위약금을 내야합니다.
위약금을 확인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문제는 이게 진짜인가, 이것을 다 내야하는 것인가 등 믿을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워낙 핸드폰 약정이나 지원금, 위약금 정산 방법이 헷갈리고 복잡해보여서입니다.
오늘 기준으로 해지하는 경우 위약금을 확인하려면 티월드 앱을 이용해야합니다. 아래처럼 티월드에 로그인해서 전체메뉴에서 '나의가입정보'를 확인해보세요. 중간에 보면 '약정할인/기기 할부 정보'라고 되어있습니다. 여기에서 내 약정 조건과 기기 할부금을 확인할 수 있어요.
SKT 신규 핸드폰 약정은 요금약정과 t지원금약정 두가지에요. 요금약정은 24개월동안 매달 요금을 할인해주는 것이고, T지원금 약정은 핸드폰 기계값을 일부 할인해주는 것입니다. 약정할인/기기할부정보를 보면 요금할인약정인지, T지원금약정인지를 볼 수 있어요.
그리고 약정 세부내용과 '오늘 해지시 할인반환금'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할인반환금이 바로 내야하는 위약금에요.
추가로 여기서 확인하는 위약금에 이번달 사용한 통신요금까지 내면 해지할 때 내야하는 정산금액이 나옵니다.
T지원금약정의 경우, 약정 시작 후 6개월 내에 해지를 하면 처음에 받은 기기할인금액을 모두 위약금으로 내야한다고해요. 그래서 가입할 때 꼭 6개월이상은 가입한 요금제로 유지를 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6개월이 지나고부터는 처음 받은 기기지원금을 남은 18개월로 일할계산해서 위약금으로 산정되고, 약정이 끝나는 시점까지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30만원을 기기지원금으로 받으면 7개월차에 해약을 하면 약 28만원정도 위약금이 나오는 방식입니다. 구체적인 금액은 다르겠지만, 위약금 산정 방식은 이러합니다. 이렇게 위약금을 셀프로 확인하고,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확실하게 한 번 더 확인을 받고 해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뉴발란스 포인트 모으는 방법: MyNB 앱테크 정보 (0) | 2022.04.05 |
---|---|
아메리카노 롱블랙 차이점은? 순서, 물비율 알아보기 (0) | 2022.03.30 |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팩 사용 순서와 올바른 사용법 (0) | 2022.03.29 |
괜찮은 앱테크 앱 추천 4가지 (0) | 2022.03.28 |
삼성 애니핏 포인트 모아서 요기요 쿠폰사는 방법 (0) | 2022.03.27 |
내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 확인하는 방법 (현재, 과거 내역 조회) (0) | 2022.03.24 |
2022년 지방선거 선출 대상, 선거일, 사전투표 일정 정리 (0) | 2022.03.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