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식 예수금 뜻: d+1예수금, 마이너스 예수금이란?

금융 정보

by 오푸닝 2022. 4. 11. 20:55

본문

주식 예수금 뜻을 알아보려고해요. 주식거래를 처음 시작하면 주식앱에 있는 모든 단어들이 낯설게 느껴지는데요. 꼭 알아야하는 기본적인 개념 중 예수금에 대해서 확실히 정리를 해두려고요.

 

주식 예수금 뜻

주식 예수금을 이해하려면 우리나라의 주식 매매 결제일에 대해 아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간단히 내 주식계좌에 주식을 매수하고 남은 현금이 바로 예수금입니다. 이렇게 딱 주식사고 남은 금액이기만 하면 간단한데, 여기에 주식 매매 결제일이 영향을 주어서 한가지 더 생각을 해야해요.

 

오늘 예수금으로 있는 돈으로 주식을 100만원어치 샀으면, 실제로 내 예수금의 금액이 줄어드는 날은 오늘이 아니라 2영업일 후입니다. 실제로 주식 매수에 대한 결제가 2영업일 후에 이루어진다는 뜻입니다. 우리나라 주식결제는 3거래일이 적용되기 때문인데요.

이점 때문에 오늘 내 예수금 금액에는 2일 후에 매수한 주식 결제대금으로 나갈 금액이 포함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100만원만큼 주식을 샀어도 오늘 당장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예수금은 그대로인 것입니다. 

 

따라서 주식 예수금이란 주식계좌에 들어 있는 인출가능한 현금을 뜻하기는 하지만 주식 매수 금액으로 빠져나갈 예정이 되어있는 금액도 포함된 상태라는 점을 늘 생각해야합니다.

 

D+1예수금, D+2예수금이란?

여기서  D+1예수금, D+2예수금이 나옵니다. D+1 예수금은 1영업일 후의 예수금 금액, D+2예수금은 2영업일 후의 예수금 금액을 나타냅니다. 다시말해 평일이라면 D+1예수금은 내일 기준의 예수금 금액을 말합니다. 

 

이렇게 표시하는 이유는 위에 말했듯 매수, 매도한 날 기준으로 3일째되는 날 결제가 이루어지기때문이에요. 그렇기때문에 오늘 날짜의 예수금을 확인하는 것 뿐아니라 D+1, D+2예수금도 꼭 함께 체크해서 오늘 예수금에서 빠져나갈 금액이있는지도 알아두어야합니다.

 

주식을 매수하는 것 뿐 아니라, 매도해서 현금화했을 때에도 실제로 내 주식계좌에 매도한 돈이 들어오는 것은 2영업일 후입니다. 그래서 오늘 주식을 200만원 만큼 매도했다하더라도, 오늘 예수금은 그대로이고 2영업일 후에 (D+2) 예수금에 200만원이 들어오는 것입니다.

 

주식거래를 몇 건 하지 않으면 간단하게 계산이 되는데요. 하루에도 여러건 매매를 진행하면 예수금 계산이 헷갈릴 수 있어요.

 

참고로 매매대금은 2영업일 후에 계좌로 들어오지만, 그 전에 주식을 매수하는 것은 D+2 예수금 금액 내에서 가능합니다.

 

마이너스 예수금이란?

간혹 D+2매수금이 마이너스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미수가 발생하는 것인데요. 대출금이 생긴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예수금에 마이너스가 발생하면 그만큼 현금을 계좌에 넣어야 미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미수금을 결제하지 않으면 다음날 아침에 시장가로 강제로 주식이 매도가 되는데요. 이것을 반대매매라고 합니다. 가장 싼가격으로 매도가 될 수 있기때문에 손해가 클 수 있어요. 그러니 왠만하면 마이너스 예수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계좌를 발 관리해야하고, 마이너스 예수금이 나오면 바로 계좌에 현금을 넣어 미수금을 없애야합니다.

 

주식 앱에서 예수금 확인하는 방법

예수금에 대한 뜻을 이해했다면 주식 앱에서 내 예수금을 확인해보세요. 예를 들어 미래에셋 앱에서 내 주식잔고 화면을 보면 중간에 [예수금]이라는 메뉴가 있어요. 이것을 누르면 내 예수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계좌 예수금 상세' 화면이 나와요. 여기서 예수금이 있고, 그 아래로 D+1 추정 현금성 자산과 D+2추정현금성 자산이 있습니다. 제가 오늘 주식을 매도했는데요. 오늘은 원래 있던 예수금 금액에서 변동이 없고, D+2 예수금에 매도한 금액이 더해져서 나타납니다. D+1예수금도 오늘과 다름이 없습니다. 단, 내일 다시 조회해보면 D+1 예수금이 오늘의 D+2예수금 금액과 같게 나오겠죠. 

 

이 화면에서 '주식예수금'을 누르면 더상세히 확인해볼 수 있어요. 아래처럼 D+1. D+2 추정현금성 자산이 나오고, D+2일에 입금될 매매정산금 금액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오늘 매도한 주식 금액이 이때 정산금으로 들어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죠.

 

당연히 나는 현금으로만 하고 미수는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생각을 하더라도, 앱을 잘 못만지거나, 거래를 할 때 착각을 하면 마이너스 예수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 거래를 하면서 늘 하루에 한 번은 예수금 현황을 꼭 체크하는 것이 안전한 것 같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